얼마 전 아주 충격적일 정도로 좋은 가격으로 델 XPS 15 9550을 영입했고 오늘 수령했다. 컴퓨터는 멀쩡한지, 모니터에 불량화소는 없는지, 뭐 이런 기타 등등의 사항들을 잘 체크해본 후 윈도우 클린설치로 직행.
윈도우 클린설치법 한글로 된 것은 조금 찾기 힘들어서, 내가 실시간으로 설치하면서 써본다.
(컴알못이니 질문하지 마세요... ㅠ_ㅠ)
사진, 그림은 없다.
1. 윈도우 USB 부팅디스크 만들기
- 마소 윈도우 툴로 USB 부팅 디스크를 만든다. 자세한 사항은 윈도우 10 usb 만들기 검색하면 여기저기 아주 잘 나온다. 반드시 백업하고 진행할 것. USB 만들 때 포맷시켜버린다.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 주의 사항: USB에 8기가 이상 용량이 남아있어야 하고, 이와는 별개로 C드라이브에 8G 이상 용량이 남아있어야 한다. 용량이 없어서 끙끙대다가 나는 결국 hiberfil.sys 파일을 잠깐 꺼두는 걸로 임시 용량 확보해서 만들었다. ㅇ
2. USB에 드라이버 담기
- 마소 윈도우 부팅 디스크를 만들면 usb가 포맷되므로 반드시 부팅디스크 만들고 다운로드를 받는다.
- 필수적으로 받아야하는 파일들:
와이파이 모듈: http://www.dell.com/support/home/us/en/19/product-support/product/xps-15-9550-laptop/drivers 에서 Network 탭을 선택하고 Killer Wireless 혹은 Intel Wifi Driver 다운로드 받는다. 킬러와 인텔 중 자기 컴에 맞는 걸로 받으면 된다. 뭐가 맞는지 확인하려면 XPS의 장치관리자에서 확인하면 됨.
바이오스: http://www.dell.com/support/home/us/en/19/product-support/product/xps-15-9550-laptop/drivers 에서 Bios 최신 버전을 받는다.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https://downloadcenter.intel.com/download/26730/Intel-Rapid-Storage-Technology-Intel-RST-?v=t 에 가서 왼쪽 스크롤을 쭉 내려본다. 그 중 f6flpy-x64.zip이라는 파일을 USB에 받아서 압축해제한다. 이거 없으면 드라이버를 못 읽으니 꼭 한다.
3. 윈도우 설치
- 델을 껐다 켠다. 로고가 뜰 때 F2를 연타하면 바이오스가 뜬다. "Secure Boot" 탭을 잘 찾아서 Disable을 선택한다. 저장 후 종료한다.
- 바이오스를 종료하면 다시 델 로고가 뜨는데 이 때 F12를 연타한다. (F2말고 F12) 부팅 옵션 중 USB Boot를 선택한다. (해당 USB 드라이버 선택하면 된다. 자동으로 uefi로 되어 있음.)
- 윈도우 설치를 시작한다. 업데이트 vs 고급사용자 설치가 뜰 때 고급사용자 설치를 선택한다.
- 드라이버를 못 잡는데, 이 때 '드라이버 로드'를 누르고 USB에 들어가 앞서 압축해제 해둔 f6flpy-x64폴더를 선택한다. 그러면 드라이버가 잡힌다.
- 쓸데없는 (=델에서 집어넣은) 파티션이 많으니 싹 정리해준다. 그냥 눈에 보이는 파티션들을 싹 다 삭제해주면 된다. 설치할 때 다시 파티션 생기니까 걱정말고 마음껏 삭제한다.
- 삭제 후 진행하면 윈도우가 알아서 설치된다. 중간중간에 지역, 자판 등등 여러 설정이 나오니 알아서 잘 설치한다.
4. 드라이버 설치
- 미리 USB에 집어넣어 둔 Killer Wireless 드라이버를 실행하고 설치한다.
- 장치관리자에 들어가서 목록상의 드라이버를 하나하나 업데이트 해준다. 필요에 따라 델 홈페이지 및 제조사 홈페이지의 드라이버들을 업데이트 해준다.
5. 윈도우업데이트
- 제어판 윈도우 업데이트에 들어가서 업데이트는 다해준다. 이는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위한 기본작업이다. 바이오스 업데이트 중에 윈도우 업데이트 문제로 컴퓨터가 얼어버리면 진짜 미쳐버림...
6. 바이오스 업데이트
- 델 XPS는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잘해주는 게 중요하므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해준다. 아까 받아둔 바이오스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면 알아서 된다. 단, 전원이 연결되어 있어야 함.
7. 드라이브 나누기
- 쉬운 포맷 및 데이터 보호를 위해 D드라이브를 만들어주자. 자세한 건 검색하면 잘 나온다.
8. Secure Boot enable
- 다시 컴퓨터를 껐다 켠다. 델 로고가 뜰 때 F2를 눌러 바이오스에 진입한 후 Secure boot 를 다시 enable해준다.
9. 여타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깔아주고 셋업한다.
'흔적 남기는 습관 > 미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XPS 15 9550 블루투스 스피커 연결이 안 될 때 (0) | 2017.05.22 |
---|---|
XPS 15 9550 하루 사용기 (2) | 2017.05.21 |
카스테라를 만들어보았다 (0) | 2017.02.20 |
크레마 카르타 14개월 사용기 (0) | 2017.01.29 |
일리노이 TVDL 정규 면허로 교환하기 (2) | 2016.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