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바오 (2)
마르코 라피네 (Marco Raffine) 72색 색연필 사용기 + 색 명칭 일람

얼마 전에 타오바오에서 충동적으로 마르코 라피네(Marco Raffine) 72색 색연필을 주문해봤다. 

할인 쿠폰 먹여서 한 85위안 주고 샀으니까 한화로 약 14000원 쯤 되겠다. 

그리고 도착해서 며칠 써봤다. 그림 그리는 것 자체가 한 몇 년 만인 것 같기도 하고, 학창시절 이후로는 특별히 미술 도구 같은 걸 살 일이 없었던지라 다른 색연필과 비교하거나 할 처지는 못된다. 

아, 한 4-5년 전에 프리즈마 색연필 24색짜리인가를 사본 적이 있긴 한데, 사놓고 감 하나 그려본 후 다시는 꺼내지 않았던 것 같다. 

색연필로 그림 그리는 것도 딱히 배워본 적이 없어서 전문적인 코멘트는 못한다. 

그림이 작아서 죄송합니다. 귀찮아서 그냥 타오바오 구매평에 올린 그림 재활용.



장점:

- 미친 듯한 가성비. 15000원도 안되는 가격에 72색이면 솔직히 그냥 문방구에서 아무 색연필이나 주워도 값 차이 크게 나지 않을 것 같다. 

- 싼 값 치고는 퀄리티가 그렇게 형편없거나 하지 않다. 내 먼 기억에 정말 싸구려 색연필은 안에 나무질이 매우 좋지 못해 깎을 때 애로사항이 꽃피는데, 라피네는 잘 깎이는 편이고 안의 나무질도 제법 고른 편이었다. 심도 그럭저럭 단단한 편이라 깎을 때 엄청 쩍쩍 갈라지고 그러지는 않는다. 최상급의 색연필은 아니지만 그래도 기본은 한다. 

- (중국 국내 한정) 상하이 마르코(马可) 회사의 공식 타오바오/티엔마오 페이지에서 구매했는데, 포장이 아주 튼튼하게 잘 되어서 왔다. 라피네 심 자체가 좀 단단한 편이긴 한데, 한 자루도 부서지지 않고 잘 담겨져 왔다. 심지어 틴케이스 아니고 종이 케이스였음. 

- 배송 빠른 편. 주문 넣으면 제법 빨리 배송을 시작하는 편이다. 

- 다시 한 번 말하지만 가성비. 아래에 서술할 단점들을 모두 상쇄시키는 것이 이 색연필의 미친 가성비다. 


단점: 

- 다른 색연필 안 써봐서 잘 모르겠지만, 색이 그렇게 잘 올라가는 편은 아니다. 어두운 색 위에 밝은 색 올리는 건 애초 글렀기 때문에 잘 계획해서 색칠해야 한다. 

- 색 섞이는 건 그저 그런 편이다. 나는 주로 흰색, 하늘색, 살구색, 연회색 따위의 색연필로 죽어라 뭉개서 색칠했는데, 면적 넓으면 답없다. 블렌더나 솔벤트라도 들여볼까 생각했는데, 중국에서 블렌더 색연필은 값이 좀 비싸기도 하고, 이 취미가 얼마나 갈지 솔직히 자신도 없고 해서 그냥 말았다. 언젠가 색연필 한 통 다 쓸 날이 오면 그 때 다시 생각해보는 것으로...

- 색깔 별로 발색에 편차가 좀 있는 편이다. 어떤 색은 아주 잘 칠해지는데, 어떤 색들은 색깔이 충분히 나오지 않아서 힘 빡주고 몇 번이고 덧칠을 해야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색 올리는 게 그리 쉽지는 않기 때문에, 발색 상태가 별로 안 좋은 색으로 칠하다 보면 정말 화가 난다. 위의 그림에서도 배경 칠하다가 진짜 입에서 욕 나왔다. 계속 덧칠하다보니 종이 다 밀리고 난리도 아니었다. (548번 너 이 놈... )

- 색이름이 나와 있지 않아서 번호를 찾아봐야 한다. 적응하면 할 만한데, 자꾸 칠했던 색깔의 번호를 까먹는 게 흠. 어느 색연필이나 다 비슷할 것 같긴 한데, 색연필에 표기된 색깔과 실제 색깔 편차가 크므로 반드시 색상표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게 좋다. 



기타사항:

- 색연필 심이 단단한 편이기 때문에 종이는 두꺼운 걸 쓰는 게 속이 편하다. 종이가 종류가 있다는 생각 자체를 못해서 처음에는 그냥 타오바오에서 가장 싼 소묘지를 사서 썼다. (지금 보니 120gsm이라고 나와있다.) 근데 종이가 얇다보니 칠하다가 종이 찢어질까봐 쫄았다. 위의 그림에서도 닉의 왼쪽 눈 옆을 보면 찍힌 자국이 있다. 색은 안 올라가고, 칠은 해야겠고 해서 힘을 빡 줬더니 종이가 눌렸다... 결국 다시 타오바오에서 160gsm짜리 도화지 제일 싼 거 사서 썼는데, 120gsm 소묘지 쓸 때 보다 훠얼씬 마음이 편했다. 이럴 줄 알았으면 중국산 도화지는 값 차이도 얼마 안 나는데 아예 더 두꺼운 종이를 사볼 걸 그랬다. 

- 색연필 색상에 번호가 붙어 있는데, 쓰다보니 너무 헷갈려서 이름표를 만들어봤다. 타오바오 페이지에 올라와있는 중국어 색상표를 참조해서 대충 번역하거나, 번역에 애로사항이 꽃피는 이름들은 적당히 갖다 붙였다. 특히 갈색 계열 이름은 번역도 마땅찮아서 대충 짓다가 머리 터지는 줄.... 일부는 영어도 내가 마음대로 지었다... 참고로 마르코 라피네와 르누아르는 색의 이름이 1:1로 대응되지 않는 모양. 

- 종이 케이스가 틴 케이스보다 값이 많이 싼 편인데, 추가로 연필통이나 연필케이스 같은 거 하나 구입하는 걸 추천한다. 난 20위안 주고 파버카스텔 색연필 케이스 샀는데, 65색만 꽂힌다는 점 빼고는 아주 만족 중. 80개 꽂히는 걸 샀어야 하는데...

- 타오바오에서 라피네 72색, 혹은 르누아르 라인을 살 경우 한 5-7원만 더하면 소묘용 라피네 연필 (2B, 4B, 6B, 8B), 지우개, 소묘할 때 문때는 종이, 칼, 작은 필통 등이 따라온다. 도화지도 따라오는데 접어서 오므로 무용지물... 참고로 연필 역시 라피네와 르누아르로 갈린다. 


마르코 라피네 색연필 색 명칭표: 

번호 

영문명 

한글명 

번호 

영문명 

한글명 

501

 White

하양 

502 

Desert Yellow 

모래색 

 503 

 Lemon Yellow

레몬노랑 

504 

Yellow 

노랑 

505

Chrome Yellow 

크롬노랑
(바나나색)

506 

Orange 

오렌지 

 507 

Tangerine 

귤색 

508 

Vermilion 

주홍 

509

Light Red 

연홍 

510 

Red 

빨강 

511

Geranium Red 

제라늄 

512 

Carmine 

담홍색 

513

Dark Pink 

진분홍 

514 

Rose 

장미색 

515

Coral Red 

코랄레드 

516 

Pink 

분홍 

517

Salmon 

연어 

518 

Apricot 

살구색 

519

Light Apricot 

옅은 살구색 

520 

Cream Ivory 

미색 

521

Light Purple 

연보라

522 

Lilac 

라일락 

523

Hydrangeas Pink 

분홍수국색 

524 

Red Purple 

자홍 

525

Deep Red Violet 

진자홍 

526 

Red Violet 

 제비꽃색

526

Violet 

바이오렛 

528 

Purple 

보라

529

Prussian Blue 

프러시안 블루

530 

Ultramarine 

군청

531

Cobalt Blue 

코발트 블루 

532 

Light Turquoise 

밝은 터키옥 

533

Blue 

파랑 

534 

Kingfisher Blue 

파란 물총새색 

535

Light Blue 

연파랑 

536 

Green Blue 

청록색

537

Sky Blue 

하늘색 

538 

Turquoise

터키옥색 

539

Emerald 

에메랄드 녹색

540 

Brilliant Green

밝은 녹색

541

Peppermint 

박하/페퍼민트

542 

Bottle Green

암녹색/
사이다병색

543

Grass Green 

풀색

544 

Olive Green 

올리브색 

545

Jade Green 

비취색 

546 

Green 

녹색 

547

Sea Green 

바다녹색 

548 

Moss Green 

이끼색 

549

Yellow Green 

황록색 

550 

Lime Green 

라임색 

551

Mustard Green 

겨자색 

552 

Yellow Brown 

연황갈색 

553

Burnt Ochre 

황토색 

554 

Light Ochre 

연황토색 

555

Brown Ochre 

흙색 

556 

Sienna 

황갈색/시에나 

557

Burnt Brown 

카라멜색 

558 

Brown 

갈색 

559

Red Brown 

적갈색/와인

560 

Brick 

벽돌색 

561

Chocolate 

초콜렛 

562 

Chestnut 

밤색 

563

Dark Brown 

암갈색 

564 

Light Grey 

연회색 

565

Silver Grey 

은회색 

566 

Warm Grey 

웜그레이 

567

Blue Grey 

청회색 

568 

Grey 

회색 

569

Dark Blue Grey 

진청회색 

570 

Black 

검정 

571

Gold 

금색 

572 

Silver 

은색 


 - 번역할 적 중국어 이름을 우선시 했고, 중국어 이름을 직역하는 게 영 마땅찮은 경우 르누아르 색연필의 영어 이름을 참고했으며, 이도저도 아니다 싶으면 그냥 적당히 창작했다.  
 - 갈색 계열은 죄다 무슨 시에나 황토 오커 이런 이름들이고, 녹색 계열은 죄다 비취 옥 터키석 (다들 그게 그거 아닌가...) 이런 이름들이었는데, 뭐가 뭔지 잘 몰라서 그냥 적당히 갖다 붙였다. 524~527 바이올렛 계열도 마찬가지. 
 - 중국의 밤은 자색 고구마색인가보다... (562번) 우리가 생각하는 밤색 아님.
 - 561의 초콜렛은 무슨 99% 카카오쯤 되는 것 같다...
 - 분홍 계열 중 한 2-3개에 각종 피부색 이름(피부색, 얼굴피부색 뭐 이런 식으로...)이 붙어 있었는데 좀 아닌 것도 같고 무슨 소린지도 모르겠어서 다 적당히 갈아치웠다. 하지만 520는 원래 미색임. 520보단 519나 502가 미색 같은데...  



  Comments,     Trackbacks
알리에서 기타와 우쿨렐레 산 후기

일단 지난 몇 년 간 나의 생활 베이스는 미국이었지만, 당분간 중국에 거주하게 된 만큼 그간 살림을 새로 마련하고 있었다. 미국에서는 장기간 거주해야하니 꼼꼼하게 따져가며 조금 비싸더라도 성능이 괜찮고 튼튼한 물건들을 골라왔다면, 이곳 중국에서는 가급적 싼 물건을 사서 되팔거나 나누거나 버리고 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래서 생필품의 영역에 들어가지 않는다면 가급적 물건 구매를 지양하고 있었다. 

하지만 스트레스라든가, 삶의 낙을 되찾겠다는 이유 등으로 슬그머니 물건을 하나, 두 개씩 추가해왔다. (얼마 전 가계부를 쓰다가 놀랐다.) 미국에 처음 갔을 적, 사고 싶은 것 무엇 하나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고, 다른 나라에서 좀체 구할 수 없는 물건들도 어렵잖게 사쓸 수 있으며, 또 다들 아무렇지 않게 사서 쓰다 버리는 것을 보고 많이 놀랐었다. 중국에 오니 미국과는 조금 다른 의미로 놀라웠다. 과연 세계의 공장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중국에는 정말 별별 물건들이 다 존재한다. 이곳 역시 돈만 있으면 못 구할 것이 없지만, 자본이 조금 적어도 온갖 것들을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마 미국과 차이가 발생하는 게 아닌가 싶다. 생각보다 싼 금액으로 아주 튼튼하지는 않더라도 그럴듯한 물건들을 얼마든지 구할 수 있다. 내게 너른 공간과 약간의 돈, 그리고 알리의 타오바오 계정만 준다면 몇 주 안에 제법 근사해보이는 방을 꾸밀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랄까. 

아무튼 적은 자본으로 뭐든 구할 수 있을 것만 같은 이곳에서 싸구려 악기를 한 번 구해보기로 했다. 원래는 중국 전통 악기도 하나 구해볼까 하다가 과연 내가 몇 번이나 해볼까 싶어서 그냥 기타와 우쿨렐레만 한 대씩 들이기로 했다. 미국에 살 적, 원래 야마하에서 나온 핑거스타일용 스몰바디 기타를 한 대 갖고 있었다. 스몰바디다 보니 울림에서 다소 부족한 면은 있지만, 이는 부족한 면이라기보다는 특성에 가깝다고 할 정도로 흠잡을 곳 딱히 없는 굉장히 균형잡힌, 무난한 악기였다. 하지만 어차피 미국에 또다시 돌아갈 예정이고, 또 금액 등을 따져보았을 때 굳이 중국까지 이고지고해서 가져올 필요는 없다고 판단해 친구에게 맡겨두고 이곳 중국으로 왔다. 

이미 미국에 괜찮은 기타가 한 대 있고, 한국 집에도 한 15년 전 쯤 산 콜트 기타가 놀랍게도 아직도 제법 잘 버티고 있으니, 굳이 중국에서 좋은 기타를 살 필요가 하나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냥 무조건 싼 통기타를 한 대 들이기로 마음 먹었다. (참고로 기타를 산 지는 오래 되었으나 기타 잘 못 침, 굉장히 못 침.)

그래서 그냥 타오바오에서 기타를 검색한 후, 가장 싼 그룹 중 가장 많이 팔린 제품페이지에서 한 대를 구매했다.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몇 천원(!) 더 주고 무려 탑솔리드...라고 하는 기타를 샀다.

https://detail.tmall.com/item.htm?id=535979526755&_u=e3cv5ued8f64

색깔은 좀 고민하다가 그냥 원목색으로 샀는데 아, 검정색이나 썬버스트로 살 걸. 아무튼 가격은 277위안으로 한화 약 4만 5천원이니 약간 충격적일 정도로 싸다. 



선택지에서 빨강색으로 네모 쳐진 거 샀다. 페이지에 379위안이라고 되어 있는데 국경절 기념으로 100위안 할인이 들어가 279위안에 구매했다. 타오바오 페이지의 후기들은 대체로 기타 입문자들이 작성한 후기들 같아서 객관적인 비교 후기 같은 건 보기 어려울 것 같았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서 인터넷에서 후기를 찾아보려고 했으나... 브랜드 이름이 검색이 너무나 어려운 이름이었다. 영어로는 Weibo...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와 같은 이름이니 구글이나 네이버에서는 당연히 검색이 불가능한 수준이었고, 중국어로도 웨버(Weber)의 음차 단어여서 도저히 이 기타 브랜드를 알아보는 것은 불가능해보였다. 그래서 그냥 딱 눈 감고 지름. 

아무튼 물류대국으로 발전해가는 중국답게 국경절 휴일인데도 불구하고 무시무시한 속도로 배송이 왔다. 나는 슬프게도 집구석에 없었고, 한참 뒤에나 집에 돌아와 택배를 뜯어볼 수 있었다. 



방 구석이 어두워서 바디 색이 좀 어둡게 나왔는데, 실제로는 진짜 무슨 공사용으로 쓰는 목재판 색의 어엄청 밝은 색깔이다. 정말 태권도 격파시범 때 쓰는 송판 같은 거 깎아서 만든 느낌. 엄밀히 따지면 솔리드탑이 맞는 것 같은데 이걸 솔리드탑이라고 불러야 하나... 아니 그런데 진짜 보고 있자면 한 번 격파해보고 싶게 생긴 그런 판때기다.



이 사진을 보면 좀 감이 오려나 모르겠다. 덜 가공된, 홈메이드 야성미가 느껴진다고 해야할련지. 그래서인가 처음에 뜯었을 때 상당히 냄새가 많이 났고, 기타케이스에 하루동안 보관하니 냄새가 더더욱 많이 났다. 당분간 밖으로 꺼내두는 것으로. 검정색이나 썬버스트로 샀으면 야성미가 좀 덜 느껴졌을까...

확실히 목재가 고급이 아니고 또 마감이나 다른 부분들의 재질 및 모양새에서 아, 이것은 저가형 기타구나 하는 게 팍팍 티가 난다. 하지만 일단 소리는 그렇게 나쁘지 않고 연습용으로는 어디까지나 쓸법한 것 같다. 사실 엄청 최악을 상상했는데 그 정도는 아닌 듯하다. 당분간 여기서 지내면서 쓰다가 싸게 팔고 가면 될 듯. 

아, 눈에 띄는 단점이 하나 있는데 바로 조율을 좀 자주 해줘야 한다는 점이다. 헤드머신이 싸구려인건지 줄이 싸구려인건지, 아니면 그냥 내가 사는 곳 기후가 엉망진창이라 나름 "탑솔리드"기타(...)가 자꾸 반응하는 건지는 모르겠으나, 조율하는 중에도, 조율 후에도 음정이 상당히 많이 흔들리는 편이라 조율이 쉽지 않다. 그리고 시시때때로 조율을 해주어야한다. (후술할 우쿨렐레만큼 막장은 아니다.)

한 가지 조금 충격적이었던 것은 같이 딸려온 부속품들의 가짓수였다. 무려 다음의 것들을 모두 다 같이 받았다:
- 그럴싸한 소프트케이스. 아니 전혀 좋은 것은 아니지만 야마하를 샀을 적 따라왔던 나일론(?) 쪼가리보다는 훨씬 그럴싸하다. 
- 기타 골무. 쓸 일 없으니 봉인.
- 조율계와 배터리. 폰으로 조율하니까 일단은 봉인. 다른 악기 쓸 때 쓸 날이 오겠지... 배터리가 손목시계에 들어가는 것과 동일하고, 마침 손목시계 배터리가 나간 터라 무척 반가웠다. 
- 카포: 싸구려 카포지만 일단은 카포 안 사도 되어서 기쁘다. 근데 고무 질감을 보니 오래 못 갈 것 같다. 최대한 버텨보자 카포야...
- 여분 기타줄
- 기타끈
- 천닦개
- 피크 2개
- 육각랜치
- 교본: 다량의 중국 가요들 코드가 실려있는데, 아무리 봐도 한국 같으면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느낌.
- 기타 독학용 앱 쿠폰

덕분에 다른 건 둘째치고 기타 케이스/스탠드라든가 카포 같은 걸 찾아 헤맬 필요는 없게 되었는데 뭔가 너무 많이 와서 좀 부담스러울 지경. 대단히 좋은 기타는 아니지만 대놓고 장난감 같은 기타는 아니니 입문용으로 쓰기에는 크게 손색이 없는 것 같다. 

여기까지가 기타 후기다. 사실 기타에는 크게 불만없다. 예전에 어디 식당인가 카페인가 가서 비치되어 있는 기타 만져봤을 때 어떻게 기타에서 이 따위 소리가 나는가싶어 대단히 충격을 먹은 적이 있는데, 이 기타는 그 정도 레벨은 아니다. 합판 버전을 샀으면 충격을 먹었을려나. 모르지 뭐. 아무튼 내가 기타를 잘 취는 사람도 아니고, 그저 취미로 띵가띵가하기에는 그다지 나쁜 기타는 아닌 것 같다. 입문용으로도 괜춘함. 물론 한국에서 굳이 배송받을 가치는 없는 것 같고, 혹시 중국에 사는데 기타 한 대 들이고 싶다면 할인 떴을 때 한 대 들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아직 산 지 얼마 안 되어서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말이다. 


자, 이제 문제의 우쿨렐레 후기로 넘어가본다. 기타를 뜯었을 때엔 오, 이 정도면 기대한 것보다는 나쁘지 않군, 그런 생각이 들어서 사실 꽤 기뻤다. 하지만 우쿨렐레는... 

사실 난 우쿨렐레를 만져보기만 했지 제대로 쳐본 적도 없고 사본 적도 없다. 그런데 기타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우쿨렐레 역시 싸게 파는 것을 보고 순간 꽂혀서 한 대 들여보기로 했다. 브랜드 이름은 무려 도도미... 친구의 풀이에 따르면 도레미 대신에 도도미로 한 게 아니냐고 하는데, 아무튼 얘도 한 20위안에서 50위안(제일 싼 모델)만 더하면 탑솔리드라고 하길래 115위안, 한화로 약 19000원 정도에 한 대 들여봤다. 

https://detail.tmall.com/item.htm?id=556750009257&_u=e3cv5ued0608&skuId=3478193821648


역시 빨간색 네모쳐진 걸로 골라봤다. 기타가 한없이 밝은 송판색이니 얘라도 어두운 색깔로 하길 잘 한 것 같다.


보기엔 멀쩡해보인다. 좀 밋밋해보기이기도 하지만 이런들 저런들 어떠랴. 어차피 난 우쿨렐레 사본 적도 없고 제대로 구경한 적도 없어서 별 미련 없다.




위의 기타보다는 마감상태가 좀 더 좋아보인다. 기타만큼의 미칠듯한 야성미(기타 상판)와 인공미(후판과 넥)의 조합은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내가 우쿨렐레 난생 처음 만져봐서 원래 이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얘는 조율이 노답이다. 어느 정도로 노답이냐면 곡을 하나 치는 도중에 페그가 풀리는 느낌? 특히 1번 줄이 거의 노답 수준인데, 잠깐 나뒀다가 다시 치면 한음 이상 풀려 있는 수준이다. 2번 줄은 약 반음 정도 풀려 있고 말이다. 그래서 줄 감아주는 게 일이다. 싼 게 비지떡이라는 게 이런 거구나! 하는 생각이 번뜩 든 순간이었다. 

그래도 싸니까, 그리고 소리도 엉망은 아니니까 다 용서해보려고 하는 중. 얘도 기타처럼 싼 모델 중 가장 많이 팔린 것 위주로 검색해서 산 것이다. 참고로 우쿨렐레도 기타만큼은 아니지만 제법 엄청난 양의 부속품과 함께 왔다. 뭐가 왔냐하면:
- 우쿨렐레 케이스: 이건 야마하기타 샀을 때 얻어받은 나일론가방 수준이다. 하지만 우쿨렐레는 가벼우니까 뭐...
- 우쿨렐레 교본: 애들용인가... 동요도 많고 신기한 그림들도 많다. 한국이라면 백퍼 저작권 문제 걸릴 법한 요소들이 많음ㅋㅋ 참고로 교본에는 타브 악보 외에는 오선보가 아닌 중국식 숫자로 표기되는 악보가 나와있다. 도는 1, 레는 2...이런 식으로 표현하는 악보인데 익숙하지 않다면 난감할 수 있다. 
- 천닦개
- 여분 줄
- 피크 2개
- 우쿨렐레 끈이라는데, 어떻게 매는 건지 아직도 파악 못함. 
- 카포: 써보지도 않았다. 아마도 구릴 것이다. 
- 브릿지에 현을 고정시키는 플라스틱 너트들 
- 앱에 쓸 수 있는 현금권...이라는데 이미 기한지남. 

역시 어마어마한 양의 부속품이다. 역시 예전에 어디 카페에서인가 주워서 써봤던 우쿨렐레보다는 생각보다 훨씬 낫지만, 다른 친구가 갖고 있던 고급형 우쿨렐레만큼의 소리는 당연히 못내준다. 하지만 어차피 싼 맛에 들였으니 띵가띵가하고 가지고 놀면 되는 거 아닌가. 다만.... 줄이 자꾸 풀려서 음정이 불안한 게 정말 큰 불만이다. 얘는 뭐가 문젠지 감도 안 온다. 페그나 브릿지쪽 고정용 너트나 혹은 둘다가 문제가 있는 것 같은데 싸구려 우쿨렐레를 굳이 줄감개를 갈거나 하는 건 오버인 것 같고... 이거 영 난감하네...    

  Comments,     Trackbacks